안녕하세요? Justkode 입니다. 저번 시간에는 선형 회귀와 분류에 대해 공부 해 보았습니다. 그런데 Logistic Regression을 학습 시키면서, 여러가지 의문이 들 수 있습니다.
이는 각각 SVM, K-NN, Random Forest를 통해서 해결 할 수 있습니다.
먼저 이번 실습에는 scikit-learn
모듈이 필요합니다. 다음을 통해 설치 해 주세요. (단, numpy, pandas, matplotlib이 설치 되어 있다면 scikit-learn만 설치 하셔도 됩니다.)
pip install numpy
pip install pandas
pip install -U matplotlib
pip install -U scikit-learn
먼저, SVM에 대해서 알아 보는 시간을 가져 보도록 하겠습니다. SVM은 주어진 데이터가 어느 카테고리에 속하는지 판단하는 이진 선형 분류 입니다.
왜 이름이 Support Vector Machine이냐 하면, 특정 분류에 해당하는 벡터를 지나는 평행한 두 직선을 그어 경계를 결정 하기 때문입니다.
출처: 위키피디아
이것만 보면 Logistic Regression과 크게 다를 게 없어 보입니다. 하지만, 가장 큰 차이점이 있다면, Cost Function에서 Margin을 고려 한다는 것입니다. 일단, 많은 수학 식들이 있기는 하지만, 이 포스트에서는 경계를 결정하는 식과 Cost Function만 설명 하도록 하겠습니다.
y의 샘플의 범주를 1, -1
이라고 가정 하면 식을 다음과 같이 나타 낼 수 있습니다.
일단 는 가중치, 는 i번째 y의 샘플, 는 i번째 x의 샘플, 는 편향입니다. 이 성립 한다는 것은, 마진 경계 내에 샘플이 존재 한다는 것을 의미 합니다. 여기서 새로 생긴 변수는 슬랙 변수이며, Soft Margin SVM에 사용 되는 변수로, 마진 경계 외에서도, 샘플을 허용하기 위해 만들어 졌습니다.
자, 이를 다시 이야기하면, 변수가 크면 클 수록, 마진 경계를 벗어나도 정답이라고 샘플을 허용 하는 정도가 높아 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비용 함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여기서 계수가 등장 하는데요, 이는, 슬랙 변수가 Cost Function에 영향을 주는 정도를 조정 합니다. 즉, 계수가 높으면 높을 수록 Hard Margin에 가까워 집니다.
일단 필요한 모듈을 모두 import 해 줍니다.
import numpy as np
import pandas as pd
import matplotlib.pyplot as plt
import sklearn
첫 번째로 Train Data, Test Data를 만들어 줍니다.
train_x_0 = np.random.randn(30, 2) + np.array([1, 1]) # 평균 1, 1
train_y_0 = np.array([0] * 30)
train_x_1 = np.random.randn(30, 2) + np.array([3, 3]) # 평균 3, 3
train_y_1 = np.array([1] * 30)
test_x = np.random.randn(30, 2) + np.array([2, 2]) # 평균 2, 2
for i in range(30):
plt.scatter(train_x_0[i][0], train_x_0[i][1], color='red')
plt.scatter(train_x_1[i][0], train_x_1[i][1], color='blue')
plt.xlim(0, 5)
plt.ylim(0, 5)
plt.show()
Train Data
이렇게 Data를 만들어 주었다면, 그 다음에는 데이터를 학습 시켜 줄 차례입니다. sklearn.svm
내의 SVC
모델을 이용하여, 학습을 진행 합니다. 또한, 데이터 시각화도 진행 해 봅니다.
from sklearn.svm import SVC
train_x = np.append(train_x_0, train_x_1, axis=0) # 만들어준 train_x_0, train_x_1을 병합,
train_y = np.append(train_y_0, train_y_1)
svm = SVC(kernel='linear', C=2)
svm.fit(train_x, train_y)
plt.xlim(0, 5)
plt.ylim(0, 5)
for i in range(30):
plt.scatter(train_x_0[i][0], train_x_0[i][1], color='red')
plt.scatter(train_x_1[i][0], train_x_1[i][1], color='blue')
xx = np.linspace(0, 5, 21) # [0, 0.25 ... , 4.75, 5]
yy = np.linspace(0, 5, 21) # [0, 0.25 ... , 4.75, 5]
YY, XX = np.meshgrid(yy, xx) # plt.contour 와 같이 사용, 둘이 같이 사용하여 grid 형태의 xx, yy의 쌍을 만들어 줌.
xy = np.vstack([XX.ravel(), YY.ravel()]).T # XX.ravel == X.reshape(-1), np.vstack로 차원 변환 시켜, 스택을 만들어 줌.
Z = svm.decision_function(xy).reshape(XX.shape) # decision_function을 이용 해서 값 추출 후 원래 모양으로 reshape.
test_y = svm.predict(test_x) # 예측
for i in range(10):
if test_y[i] == 0:
plt.scatter(test_x[i][0], test_x[i][1], color='red', marker='x')
else:
plt.scatter(test_x[i][0], test_x[i][1], color='blue', marker='x')
plt.contour(XX, YY, Z, colors='k', levels=[-1, 0, 1], alpha=0.5,
linestyles=['--', '-', '--']) # 경계선 그림
plt.show()
Noisy한 데이터에도 학습이 잘 된 모습
이 알고리즘은 매우 간단한 알고리즘 입니다. 특징 공간 내에서 그저, 가장 가까운 k개를 뽑아, k개 중 가장 많은 샘플들이 있는 레이블에 분류 됩니다. (그 이유 때문에, k의 값은 홀수가 권장 됩니다.) 이 알고리즘은 일단 학습 데이터에 타겟 값이 존재한다는 점에서 군집(Clustering)과 다릅니다. 거리를 측정 할 때에는 유클리디안 거리 ()를 계산하여, 가장 가까운 k개를 선정 합니다.
또 다른 흥미로운 점은, 이 친구는 Cost Function이 없습니다.
출처: 위키 피디아, k = 3일시 빨강, k = 5일시 파랑으로 분류 된다.
from sklearn.neighbors import KNeighborsClassifier
from matplotlib.colors import ListedColormap
train_x_0 = np.random.randn(30, 2) + np.array([-5, -5]) # 평균 5, 5
train_y_0 = np.array([0] * 30)
train_x_1 = np.random.randn(30, 2) + np.array([5, 5]) # 평균 -5, -5
train_y_1 = np.array([1] * 30)
train_x = np.append(train_x_0, train_x_1, axis=0)
train_y = np.append(train_y_0, train_y_1)
neigh = KNeighborsClassifier(n_neighbors=3) # k 갯수를 3으로
neigh.fit(train_x, train_y)
xx, yy = np.meshgrid(np.arange(-8, 8, .1), np.arange(-8, 8, .1))
Z = neigh.predict(np.c_[xx.ravel(), yy.ravel()]) # np.c_로 위아래로 행렬 붙임
# Put the result into a color plot
cmap_light = ListedColormap(['orange', 'cyan', 'cornflowerblue']) # [0, 1, 2]에 대해 색상 적용
Z = Z.reshape(xx.shape)
plt.contourf(xx, yy, Z, cmap=cmap_light) # z에 따라 적용 함
for i in range(30):
plt.scatter(train_x_0[i][0], train_x_0[i][1], color='red')
plt.scatter(train_x_1[i][0], train_x_1[i][1], color='blue')
plt.xlim(-8, 8)
plt.ylim(-8, 8)
plt.show()
Decision Boundary가 형성 된 모습
Random Forest는 여러 개의 모델을 합쳐 놓은 앙상블 모델 (ensemble model) 입니다. 아, 일단 이름이 왜 Random Forest냐면, 여러 개의 Decision Tree가 모여서, Forest를 만든다고 하여 Random Forest 입니다.
학습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 알고리즘에 대한 장점이 있다면 Numerical 하게 데이터를 바꿀 필요가 없다는 것! 범주형 데이터, 숫자형 데이터에 대해 모두 적절 한 분류를 시행 합니다.
여러 Tree에 대해 "투표"를 받는 모습. 각 노드가 하나의 질문이라고 생각하면 됨. (ex: a > 5 인가?, b == "한국" 인가?)
load_wine 데이터를 통해, 와인의 종류를 분류 하는 Random Forest 모델을 만들어 보겠습니다. sklearn.ensemble
내의 RandomForestClassifier
모델을 사용 합니다.
from sklearn.ensemble import RandomForestClassifier
from sklearn.datasets import load_wine
wine = load_wine() # X가 13개의 feature, 시각화 어려움
X = wine.data
Y = wine.target
X_train, X_test = X[:-30], X[-30:]
Y_train, Y_test = Y[:-30], Y[-30:]
forest = RandomForestClassifier(n_estimators=100, random_state=0) # n_estimators: 사용할 tree 갯수
forest.fit(X_train, Y_train)
accuracy = (sum(forest.predict(X_test) == Y_test) / 30) * 100 # numpy의 boolean 연산을 통한 확률 계산
print(f"정확도: {accuracy}%")
1개 빼고 모든 분류를 잘 해낸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정확도: 96.66666666666667%
각 요소의 중요도는 RandomForestClassifier
객체 내의 feature_importances_
어트리뷰트를 이용 합니다.
forest.feature_importances_
array([0.16453422, 0.03106235, 0.01829371, 0.03240328, 0.04474084,
0.04180306, 0.13492073, 0.01458841, 0.05394241, 0.16223051,
0.04170749, 0.0540259 , 0.2057471 ])
이번 시간에는 SVM, K-NN, Random forest에 대해서 배워 보았습니다. 오늘 배운 모델들은 가벼우면서 실무에서 많이 쓰이는 모델들 이므로, 여기서 "찍먹" 수준에서 머물지 않고, 더 깊게 배우셨으면 하는 마음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Normalization (정규화), PCA (차원 축소)**에 대해 이론을 알아 보고, 정규화를 이용하는 이유를 수학적인 관점에서 파악해 보고, 정규화를 실시 하여 보며, PCA를 이용하여 정보의 손실을 최소화 하며 차원을 축소 시켜보는 실습을 진행 해 보겠습니다.